내가 발전하는 페이지 썸네일형 리스트형 MRSA(메티실린 항생제 내성 포도알균) 검사 결과, 관리 MRSA란? 위험요인, 전파방법, 증상1. MRSA 포도알균(포도구균.staphylococci)은 1878년 코흐가 처음으로 현미경 상에서 포도송이 같은 형태를 보이는 것을 기술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포도구균)은 사람의 피부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의 일종이다. MRSA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약자로 메티실린을 포함한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보인다. 지역사회에서는 피부 감염이 가장 흔하다. 몇몇은 호흡기로 감염되어 폐렴을 유발한다. 만약 제대로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패혈증까지 유발할 수 있다. MRSA는 병원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야기할 수 있다. - 혈류감염 - 폐렴 - 수술부위 감염 2. 위험요인의료시설(병원, 요양병원 등)에 입원하는 환자들은 MRSA에 감염에 취약합니다. 특히 다음의 경우에 .. 더보기 결핵의 진단 검사 흉부 X-ray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진단하기 위한 첫 번째 검사. 폐결핵이 아닌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에도 도움이 된다. 폐결핵환자의 1/3까지 비전형적인 방사선학적 소견을 보일수 있으며, 초기에 종종 폐렴으로 오인하여 항생제 치료를 하게된다. 흉부X선 검사에서 폐렴이 의심되어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흉부X선 검사 에서 병변이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경우 폐결핵을 의심하고 객담 결핵균 검사와 같은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항산균 도말검사(AFB stain)_항산균 염색결핵균은 세포벽에 mycolic acid등 지질이 많이 있어서 염료가 잘 침투되지 못하기 때문에 석탄산과 혼합된 염료를 써야 염색할 수 있다. 일단 염색된 균은 산으로도 탈색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한 염색방법이.. 더보기 손위생을 방해하는 것들_ 장갑, 쥬얼리, 네일(WHO guideline) 1. 장갑 여러 연구에서 장갑 착용과 손위생의 관계에 대해서 발표하였습니다. 결과는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장갑 착용이 손위생을 높인다는 연구 대부분은 손위생 수행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적응증과 여러 다른 부분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예를들어 손위생 수행률은 높았을지 모르지만 적응증, 한 환자의 여러 신체 부분을 옮겨갈 때 적절하게 교체나 손위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의료인들은 한 환자의 여러 부위와 여러 처치, 또는 다른 환자를 접촉할 때 장갑이 적절하게 교체되지 않는다면 교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교체 및 손위생이 수행되어야함을 항상 명심해야합니다. * 청결 장갑 착용 전 손위생 청결 장갑 착용 전 손위생을 하지 않는 것이 장갑을 오염시킨다는 근거.. 더보기 이전 1 다음